ActiveX 취약점 분석
-
분석 개요
-
분석 대상
Category Contents URL XXXXX Service XXXX 게임 S/W 게임 시작을 위한 ActiveX
-
-
분석 환경
-
본 분석은 모의해킹 형식으로 Attacker와 Victim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환경은 다음과 같다. 또한 취약점을 찾는데 있어 사용된 환경은 Victim과 같고, 표에 기재된 툴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Category Contents (Attacker) 운영체제 Windows XP 64Bit 서버 구축 정보 APM Setup 7 Category Contents (Victim) 운영체제 Windows 8.1 K 64Bit 서버 구축 정보 Internet Explorer v11.0.9600.18500 Tools Contents IE 개발자 도구 Web 소스 분석 IDA 6.8 DLL 분석 VM Ware 12 Pro Attacker 환경 구축 Wireshark 2.0.1 패킷 분석 -
공격 흐름도
- 프로그램 정상 작동 흐름도
- 공격 흐름도
-
-
Proof of Concept
-
프로그램 정상 작동 로직
- Web 영역
Target URL에 접속 시 XXXXX.dll이 설치되며 이는 위 GAME START 버튼 클릭 시 사용된다.
- 게임 실행
GAME START 버튼 클릭 시 GameStart() 함수를 호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함수는 아래 그림5와 같다. GameStart() 함수는 /cab/active.php를 요청하고, 반환된 응답(그림 6)을 이용하여 uid, upass, gname, gurl, gender, age, shutdown변수로 설정한다. 이 변수들은 fnStart() 함수의 인자로 사용 된다.
/cab/active.php를 호출하여 반환된 응답을 이용하여 uid, upass, gname, gurl, gender, age, shutdown을 세팅하고 fnStart 함수 호출.
인자명 반환된 값 (/cab/active.php) uid a5e9w80vb2c~ (암호화된 것으로 추정) upass 40098 gname xxxxxxxx gurl http://xxxxxxxxxxxxx.xxxxx.co.kr/xxxxxxx/xxxxxxx/xxx gender XXXXXXXXX (생년월일과 성별 값) age XX shutdown success fnStart() 함수에서는 변수 a (uid)를 통해 로그인 여부를 체크하고, 변수 k(shutdown)으로 셧다운제 적용 대상 여부를 체크한다. 통신 장애를 확인한 뒤, XXXXXXXXXXXX 라는 object로 DLL 내부의 Start()함수를 호출한다.
Start함수는 다음과 같은 인자를 가지고 호출된다. 첫 번째 인자는 게임명이며, 두 번째 인자는 info파일 (2.1.2.에서 설명)을 다운받기 위한 URL이다.
Start(“xxxxxxxx”, “http://xxxxxxxxxxxxx.xxxxx.co.kr/xxxxxxx/xxxxxxx/xxx”, “a5e9w80vb2c5bbbc3105383b6c77e4cdcd6ac152fffd405ec82dbd8e8d1be9ad86e5d263a1e415d7e671116fff57dcc4dd60f1f8baafa597af1ad27a0989e28de0692b3c5c0c808ef8ade0778c451da86eeff62e3e8735b21af702a91774e496cfff2abc72544c623d5ea989dbecd15656b95c6b9”, 40098, XXXXXXXXX, ‘1’, ‘1’, ‘1’, ‘1’, ‘S’);
fnStart() 함수밖에서 XXXXXXXXXXXX object의 정의를 찾을 수 있고, 해당 object는 XXXXXXXX.dll (ActiveX)를 제어한다
- ActiveX 영역
IDA를 통해 DLL을 분석하면 Start() 함수를 찾을 수 있다. 현재 lpParameter+176에는 인자로 넣어준 게임 이름이, lpParameter+689에는 인자로 넣어준 URL이 들어가 있다. 따라서 http://xxxxxxxxxxxxx.xxxxx.co.kr/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info 를 다운받아 C:\———\———-\xxxx.info로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아래 그림과 같이 Wireshark로 확인이 가능하다.
원본 info 파일의 내용은 다음 그림과 같다. IF_PATCH_URL은 패치를 진행하는 동안 파일을 다운 받을 URL이며, IF_PATCH_FNAME은 패치를 진행할 목록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의 이름이다. 또한 IF_EXE_FNAME은 패치가 끝난 뒤 게임을 실행하는 로직에서 사용되며, 실행할 파일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다음 그림에서는 info 파일 내부의 IN_PATCH_URL의 값을 ReturnedString에 저장하고, IF_PATCH_FNAME 의 값을 v104에 저장한 뒤, 게임 프로그램을 패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URL에서 v104에 해당하는 패치 파일 리스트를 다운로드 한 뒤에 패치 파일 리스트를 확인하여 프로그램의 CRC32가 다른 경우 패치를 진행한다. 패치 파일 리스트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것은 Wireshark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원본 패치 파일 리스트는 다음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패치 파일 리스트 다운로드
프로그램 다운로드
info파일에 있던 IF_EXE_FNAME의 값(실행할 파일의 이름)을 “C:\———\———-”이라는 문자열 뒤에 붙여주고, 이를 lpParameter+5818에 저장한다. 그리고 lpParameter+5818을 이용하여 실행할 프로그램의 파일명과 그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인자 값(argv)들을 붙여서 lpParameter+6078에 저장한다. 그 다음 CreateThread() 함수를 이용하여 새로운 쓰레드를 만들고, StartAddress() 함수를 호출한다.
StartAddress() 함수에서는 CreateProcessA() 함수를 이용해 lpThreadParameter+6078에 담겨있는 정보를 실행한다.
즉 아래 그림과 같이 XXXXXXXXX.exe 가 실행 된다.
-
프로그램 공격 로직
- Web 영역
위 그림은 Web 영역의 정상 작동 방법을 활용하여 직접 작성한 html POC 코드이다. fnStart() 함수에서 XXXXXXXXXXXX라는 object로 DLL 내부의 Start()함수를 호출했듯이 Test object를 생성하여 Start()함수를 호출한다.
첫 번째 인자인 게임명을 my_poc_test로, 두 번째 인자인 info 파일을 다운받기 위한 URL을 공격자 서버로 가정된 VM 내부의 영역의 주소로 변경하여 공격한다.
- ActiveX 영역
위 그림은 VMWare로 구성한 Attacker(서버) 환경이다. cmd 콘솔창을 통해 Attacker IP를 확인했다.
위 그림은 Attacker의 Web root 디렉토리 구성이다.
위 그림은 Web root 디렉토리 안에 있는 file.txt의 내용이다.
file.txt는 정상 작동 로직에서의 filelist.txt(그림12)의 역할을 하는 파일이며, 같은 디렉토리 안에 있는 Hacktive_POC.exe의 파일명, 크기와 CRC32를 담고있다. 이 CRC32는 원본 filelist.txt의 안에 있던 WindyZone.exe의 CRC32와 동일하게 설정했다. Hacktive_POC.exe는 악성 프로그램이라고 간주한다.
위 그림은 하위 디렉토리 XXXXXXXXXX 구성이다.
Web root 하위의 XXXXXXXXXXX 디렉토리에 있는 “my_poc_test.info” 파일은 사용자가 ActiveX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info 파일이며, 내용은 위 그림24와 같다. IF_PATCH_URL에는 파일 다운로드 URL인 Attacker의 IP를 넣어줬다. IF_PATCH_FNAME에는 악성 프로그램을 다운받도록 할 정보를 가지고 있는 리스트(file.txt)를 넣어줬다. IF_EXE_FNAME은 다운받을 악성 프로그램의 이름을 의미한다.
위 그림을 통해 Victim이 html POC코드를 실행 또는 접속하면, Attacker의 서버로부터 변조된 info 파일을 다운받는 모습을 Wireshark로 확인할 수 있다,
변조된 info 파일로 인하여 Victim이 file.txt 파일을 다운받는다. 같은 방식으로 file.txt로 인하여 Victim은 Hacktive_POC.exe를 다운받으며, 이를 Wireshark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음 그림에서 Victim의 컴퓨터에서 POC.html을 실행하면 변조된 info 파일 내부의 IF_EXE_FNAME로 인하여 악성 프로그램 Hacktive_POC.exe가 실행된다.
-
-
결론
-
조치 방안
- Web 영역 조치 방안
Web 영역에서는 해당 ActiveX의 Start() 함수 실행 시 사용되는 인자 값을 공격자가 확인 할 수 없도록, 인코딩을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ActiveX 영역 조치 방안
게임 업데이트를 위한 info 파일 내 URL을 패치를 위해 제공하는 주소로 고정 해야한다.
게임의 특성상 패치가 자주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패치버전 별 관리를 위해 유동적인 패치 URL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URL의 Domain name부분이 패치를 위해 제공하는 URL인지 검증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